일정: 2025.09.30.(화) 16:30
장소: 천문대 영상실
연사: Hyukmo Kang (University of Arizona)
제목: Various optical metrology methods for space telescope development
Abstract
Modern astronomical telescopes require a larger aperture to secure light-gathering power for deep space, and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are becoming more challenging. To satisfy these demanding requirements, innovative, efficient solutions in metrology are necessary. Meanwhile, space telescopes require different technologies from ground-based telescopes due to constraints in space and accessibility. In this colloquium, we introduce various optical metrology technologies used in telescope development and research cases from the University of Arizona.
일정: 2025.09.23.(화) 16:30
장소: 천문대 영상실
연사: Hyun-Jin Jeong (KU Leuven)
제목: Generative AI for Solar Surface Magnetic Field Data and Their Applications
Abstract
We have explored the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improve solar farside magnetic field data and to predict future solar surface magnetic field maps. Solar surface magnetic fields are essential for studying solar atmospheric activity and are widely used as inputs for many numerical models of the Sun and space weather. First, we generate solar farside full-disk vector magnetograms using a generative AI based on the Pix2PixCC model from the corresponding extreme ultraviolet (EUV) images obtained by the STEREO and Solar Orbiter missions. These AI-generated far-side data allow us to construct near-real-time solar synchronic global magnetic field maps. We then apply them as input boundary conditions to solar coronal model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based on conventional data. Second, we predict future time-evolving solar surface magnetic fields using consecutive data from recent and past magnetic field maps. Our AI-based model shows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solar surface flux transport models. Our model successfully produces the effects of differential rotation and meridional flow on the solar surface and can predict magnetic fluxes of rapidly emerging solar active regions several days in advance, if their evolution is captured in the input data. Finally, we discuss how generative AI can be further adapted for scientific research, as well as several promising applications of our new methodologies in studies of the solar corona, heliosphere, and space weather.
일정: 2025.09.16.(화) 16:30
장소: 천문대 영상실
연사: Young Soo Yo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제목: From Cosmic Rays to Neutrons:Particle Measurements in Space and on the ground
Abstract
The study of cosmic rays and neutrons is vital for both understanding the universe and ensuring the success of space exploration missions. This talk will provide an overview of key advancements in the measurement of TeV cosmic rays and neutron spectra, focusing on spacebased and ground-based experiments. The first section will cover TeV cosmic rays measurement experiment, the Cosmic Ray Energetics And Mass (CREAM). It will explore CREAM’s contributions both as a balloon-borne experiment and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The second part will address neutron measurements, highlighting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KRISS) and its work in neutron metrology, as well as ground-based neutron spectrum measurements. The talk will then introduce other neutron measurements in space and on planets.
일정: 2025.09.09.(화) 16:30
장소: 천문대 영상실
연사: Lee, Sang-ryu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목: 우주기술확보와 우주과학 측면에서 살펴본 우리나라 우주 개발
Abstract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저궤도, 정지궤도의 실용급 위성과 다누리호의 성공으로 우주탐사 분야까지 영역을 넓히는 중이며, 위성 활용분야의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성공으로 인하여 자력으로 실용급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되었다. 그리고, 차세대 발사체 개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달착륙선 개발, 화성탐사 등 보다 도전적인 사업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우주개발은 우주선진국을 기술을 따라잡아 기술격차를 줄이는 데 집중되다 보니, 독보적인 기술이나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우주과학임무는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본 콜로퀴움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현황을 돌아다 보고, 세계의 우주개발 트렌드와 미래전망을 참고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에 있어 우주기술확보와 우주과학·우주탐사 임무의 균형을 이루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방향성, 전략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일정: 2025.09.02.(화) 16:30
장소: 천문대 영상실
연사: Myung, Kwang-Min (디아이랩)
제목: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후리스크 진단 및 적응
Abstract
- 탄소배출과 기후위기
-기후리스크 진단 및 적응
-기후테크 투자 동향 및 스타트업 사례
2025년 1학기 성과 제출 요청(~9/19)
제출기한: 2025.09.19.(금)까지
제출내용: 개별 이메일 참조 / (붙임) 2025 성과제출양식(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 각 시트에 해당되는 부분 모두 작성)
성과기간: 2025.01.01. ~ 08.31.
제출방법: 각 연구실 대표학생이 취합하여 이메일 회신
2025년 4단계 BK21 사업 우수 대학원생 국제 공동연수 지원 사업 추가 공모 안내(~7/31)
신청방법: 개별 이메일의 (붙임1) 공고문을 참조하여 아래 구글폼으로 지원
제출기한: 2025.07.31.까지
관련 안내: 개별 이메일 참조
4단계 BK21과제 사사 및 소속 표기 안내
1. 논문 사사표기 관련
bk21 4단계 사업의 경우 논문의 사사표기가 필수사항이 아닙니다.
사사를 표기하고 싶은 경우는 아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글
이 논문은 정부(교육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BK21 FOUR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경희대학교 차세대 우주탐사 인력양성팀).
영문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BK21 FOUR program through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under Ministry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Human Education Team for the Next Generation of Space Exploration)
2. 소속 표기 관련
bk참여 학과명(또는 교육연구팀명)과 참여인력이 저자로 명시된 경우에만 실적(논문, 학술대회, 특허 등)으로 인정되고,
논문게재료도 지원 가능하므로 해당 실적에 소속과 이름을 필수로 표기하시기 바랍니다.
학과명 한글: 경희대학교 우주탐사학과
학과명 영문: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Space Research
교육연구팀명 한글: 차세대 우주탐사 인력양성팀
교육연구팀명 영문: Human Education Team for the Next Generation of Space Exploration
* 논문, 학술대회 등 학과명을 쓰지 않는 경우는 학교명까지만 명시되어도 실적으로 인정됨.
4단계 BK21 교육 영역 성과 조사를 위한 대학원생 설문 협조 요청
교육부(한국연구재단)에서 발주한 4단계 BK21 주요 성과 분석 설문 조사를 시행합니다.
대학원생의 의견을 수집하여 대학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하도자 하오니 많은 참여부탁드립니다.
설문명: 4단계 BK21 교육 영역 성과 조사를 위한 대학원생 설문
설문 대상: 국내 연구중심대학 대학원생
설문방법: 온라인 설문조사
(URL: https://survey.nrf.re.kr/survey.jsp?p=2509&r=02)
설문기간: 2025.04.30.(수)까지
문의처: 2025bk21projectteam@gmail.com
관련 안내: 개별 이메일 참조
2025학년도 연구비카드 사용 및 사업비 집행 규정 안내
2025학년도 연구비 카드가 발급되어 사용 안내드립니다.
(붙임1), (붙임2)의 사업비 집행 규정 및 양식 보내드리오니, 추후 지원금 사용 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연구비 카드를 사용해야하는 경우, 최소 1~2일 전 연락하여서 사용가능한지 확인해주시고,
BK21 행정실(응용과학대학관 526호)에서 카드 사용 대장 작성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안내: 개별 이메일 참조
2025-1학기 BK21 참여대학원생 요건 검증을 위한 증빙서류 제출 안내
제출서류
4대보험 가입내역서(2025.04.01. 발급)
타 과제 참여 확인서(타 과제 참여자만)
교육비 납입증명서(연구등록자)
서약서(신규참여자)
동의서(신규참여자)
인권침해예방 수료증(신규참여자)
연구윤리교육 이수증(신규참여자)
제출방법: 각 연구실 대표학생이 취합하여 이메일(jh123@khu.ac.kr) 제출
제출 기한: 2025.04.07.(월)까지
참고
4대보험 가입내역서는 2025.04.01. 발급분만 인정됩니다. 날짜에 맞춰 발급 부탁드립니다.
(전일제 검증 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BK21 비참여로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타 과제 참여확인서는 인포21에서 발급
서약서 및 동의서는 전자서명 또는 서명본 스캔하여 송부
연구윤리교육은 아래 수강안내 링크에서 수강신청하여 수강(한국어 또는 영어 1과목만 수강하면 됨)
수강안내 링크: 정보광장 공지사항 학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문)
연구윤리 수강신청 기간: 2025.03.31.(월)까지
연구윤리 과목은 퀴즈 통과가 필수이며, 마지막 퀴즈를 통과하지 못하면 재수강해야하기 때문에 퀴즈까지 성실히 수강부탁드립니다.
관련 안내: 개별 이메일 참조
2025년 4단계 BK21 사업 우수 대학원생 국제 공동연수 지원 사업 공모 안내
신청방법: 개별 이메일의 (붙임1), (붙임2) 공고문을 참조하여 (붙임3) 신청서 작성 후 아래 구글폼으로 지원
제출기한: 2025.04.18.까지
관련 안내: 개별 이메일 참조
대학원 혁신기획팀 BK21 5차년도 연차평가 작성을 위한 각 연구실 자료 요청
실적작성기간: 2024.03.~2025.02.
요청사항: (붙임)파일 시트2~8 중 해당되는 내용 작성
2024한년도 BK21 참여인원에 대한 실적만 작성
제출기한 및 방법: 2025.03.10.(월) 오전까지 대표학생이 이메일 회신
관련 안내: 개별 이메일 참조
2024학년도 BK21 사업 연도 종료에 따른 참여 대학원생 제출 서류 안내
제출서류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2025.02.28. 발급분만 인정)
제출방법: 각 연구실 대표학생이 취합하여 이메일(jh123@khu.ac.kr) 제출
제출 기한: 2025.03.05.(수)까지
2025년 1월 영어논문교정(editage) 지원사업 안내
구글 설문 및 논문 업로드: https://forms.gle/gWoraLkLjVimzkNq7
구글폼 신청마감: 2025.01.24.(금)
수령시기: 2025.02.07.(금) 전
지원금액: 단어당 단가 50원으로 편당 최대 40만원 지원(*7,200단어) / 2024학년도 기준 학기당 최대 3회까지 지원 가능
관련 안내: 개별 이메일 참조
문의: 대학원 혁신기획팀 정민영 담당(02-961-9105~6, innogradu@khu.ac.kr)
2024년 4단계 BK21사업 우수 대학원생 국제 공동연수 지원 계획 추가 공고(3차)
추진목적
BK21 참여 대학원생에게 국외 연수 기회를 부여하여 국제기관과 공동 연구를 장려하고 해외 연구자와 네트워크 구축 기회 부여
국제기관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높은 수준의 연구업적 창출을 독려하고, 국제 공동연수를 통해 글로벌 역량을 가진 대학원생 육성
지원대상
4단계 BK21 사업 교육연구단(팀)의 참여대학원생 중 다음 조건을 만족하고 높은 수준의 연구 및 글로벌 역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한 자
대한민국 국적이며 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박사과정 및 박사수료인 자
3개월 이상 4단계 BK21 사업에 참여한 자
지원내역: 국외 대학 등 기관에서 협력연구 또는 연수를 할 수 있는 국제 공동연수자에게 항공료 및 연수비 지원
지원기간: 6개월/12개월
지원금액: 연수생 1인당 최대 2,600만원(12개월 지원 기준)
신청기간: 2024.11.13.(수) ~ 12.13.(금) 18:00까지
지원 방법 등 자세한 사항: 개별 이메일 참조
2024-2학기 참여대학원생 연구윤리 교육 수강 이수증 제출 안내
제출서류
(붙임1) 연구윤리 수강 여부
연구윤리교육 확인서(이수증)
제출대상: 2024-1,2학기 참여학생(현재 수료생, 휴학생, 졸업생 포함)
제출 기한: 2024.12.20.(금)까지
제출방법: 이메일 제출(jh123@khu.ac.kr)
참고사항
2024-2학기에 수강신청을 하지 않은 학생도 현재 신청 가능(수료생, 휴학생도 인포21에 로그인이 가능하면 신청 가능)
BK21 참여 이전(2024.02.) 대학원 과정 내 연구윤리 과목을 이수한 경우 증빙 인정 가능
2022년도 9월 이전 입학생 중, 참여대학원생이 이미 졸업하여 연구윤리 과목을 수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붙임1)파일에 '졸업생 수강불가'로 작성
연구윤리 수강 관련 안내 링크 및 제출 양식: 개별 이메일 발송 안내 참조
BK21 자체평가 보고서 작성을 위한 교수 및 대학원생 실적 요청
제출서류
(붙임) BK21 실적요청양식(1~8번 시트 모두 작성)
제출 기한: 2024.10.02.(수)까지
제출 양식 및 제출방법: 개별 이메일 발송 안내 참조
2024-2학기 신규 참여인력 요건 확인 및 관련 증빙서류 제출 안내
제출서류
4대보험 가입확인서(10월 1일,2일자 발급분만 인정) - 외국인 학생의 경우 외국인등록증 앞, 뒷면 사본(D-2 비자) 대체 가능
학적부
참여인력 서약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건강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인권침해 예방 수료증(온라인 교육 수강 메뉴얼 참조)
제출 기한: 2024.10.03.(목)까지
제출 양식 및 제출방법: 개별 이메일 발송 안내 참조
2024년 BK21사업 우수 대학원생 국제 공동연수 지원 계획 추가 공고
추진목적
BK21 참여 대학원생에게 국외 연수 기회를 부여하여 국제기관과 공동 연구를 장려하고 해외 연구자와 네트워크 구축 기회 부여
국제기관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높은 수준의 연구업적 창출을 독려하고, 국제 공동연수를 통해 글로벌 역량을 가진 대학원생 육성
지원대상
4단계 BK21 사업 교육연구단(팀)의 참여대학원생 중 다음 조건을 만족하고 높은 수준의 연구 및 글로벌 역량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한 자
대한민국 국적이며 접수 마감일 기준으로 박사과정 및 박사수료인 자
3개월 이상 4단계 BK21 사업에 참여한 자
지원내역: 국외 대학 등 기관에서 협력연구 또는 연수를 할 수 있는 국제 공동연수자에게 항공료 및 연수비 지원
지원규모: 국제 공동연수자 117명 내외, 3,042백만원
지원기간: 1년(12개월)
지원 방법 등 자세한 사항: 개별 이메일 참조
2024-1학기 BK21 참여인력 인권침해 예방교육 수강 및 수료증 제출 안내
제출서류
건강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인권침해 예방교육 수료증
제출 기한: 2024.07.05.(금)까지
제출방법: 이메일 제출(jh123@khu.ac.kr)
교육명: 건강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인권침해 예방교육
교육내용: 대학원생 인권침해 사례 검토 및 인권 친화적 대학원 연구환경 조성, 부실학술대회 예방 가이드
교육대상: BK21 사업 참여인력(참여기간 중 1회 의무 수강/최초 참여 학기 내 수강)
수강방법: 과학기술인 알파캠퍼스 사이트 (https://alpha-campus.kr/) 이용 탐색→온라인교육→건강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인권침해 예방교육→수강신청→신청완료→수강
2024-1학기 BK21 참여 대학원생(신규) 제출 서류 안내
제출서류
4대보험 가입확인서(5월 1일자 발급) - 외국인 학생의 경우 외국인등록증 앞, 뒷면 사본(D-2 비자) 대체 가능
참여인력 서약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제출 기한: 2024.05.10.(금)까지
제출 양식 및 제출방법: 개별 이메일 발송 안내